반응형
반응형
심장마비와 같은 허혈성 심장 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. 지난 수십 년 동안 예방, 발견 및 치료의 개선으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심장 질환은 여전히 주요 공중 보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.
심혈관 질환은 2020년대 초반 기준 국내 사망 원인 중 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며, 전체 사망자의 약 20%를 차지합니다. 아래 데이터는 질병관리청에서 2023년에 발표한 [2022 국민 건강통계] 자료에서 인용하였습니다.
질병에 의한 급성 심정지 현황
- 2012년~2019년 질병에 의한 급성심정지는 남자가 14, 605건, 여자가 8,527건이었습니다.
- 연령별 현황
연 령 | 발생건수 | 연 령 | 발생건수 |
0 ~ 9세 | 218건 | 50 ~ 59세 | 3,122건 |
10 ~ 19세 | 115건 | 60 ~ 69세 | 3,894건 |
20 ~ 29세 | 220건 | 70 ~ 79세 | 5,777건 |
30 ~ 39세 | 552건 | 80세 이상 | 7,811건 |
40 ~ 49세 | 1,423건 |
생각해 봅시다
- 익사, 교통사고 등의 사고에 의한 심정지가 아니라 순수히 질병에 의한 심정지 현황입니다.
- 연령별 인구 비례 등도 고려해야 봐야 하겠지만 통계를 보는 눈이 없어 단순히 숫자만 보면 50대 이후 발생건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
- 병원에 가보지도 못하고 사망했거나 수면중 돌연사한 사람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 분들도 반영이 된 수치일까요? 주변에서 느낀 경험은 반영이 안된 데이타인 것 같습니다.
- 사망 숫자가 이렇게 많은 것을 보면 빙산의 모형에 비교해 볼 때 위험대에 있거나 힘든 투병과정에 있는 분들은 얼마나 많을까요?
- 암환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사망원인이라는 점 다시한번 기억하고 혈액순환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인식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.
반응형